본문 바로가기

서비스/네트워크

KT의 4G WiBro? LTE?

 

 



혹시 요즘 흔히들 얘기하는 4G(4세대 이동통신)에 대해 어떻게 알고 계신가요? 광고에서도 자주 보이는 3G, 4G 라고 하는 것은 정보통신 기술의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규정하는 규격에 맞느냐 맞지 않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2010년 12월 6일, ITU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세미나를 열어 WiMax (WiBro가 해외에서는 WiMax로 알려져 있음)와 LTE를 모두 4G로 간주한다고 공식발표를 했습니다. 이 날을 계기로 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는 4G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발표가 연이었다고 하네요 ^^ 당시 ITU 홈페이지에 게시된 언론보도자료를 통해서도 아래와 같은 발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G 이동통신의 범위는 "선도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는 LTE와 WiMax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3G 이동통신망이 최초 구축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계속적인 성능과 역량의 향상을 보여주고 있는 다른 진화된 3G 이동통신기술(evolved 3G technologies)"을 포함한다.

ITU 언론보도 원문 바로 가기 >>>>>> Click  
관련 기사 ( 제목 : ITU: WiMAX & LTE Now 4G ) 바로 가기 >>>>>> Click  

 

참고로, 미국에서 WiMax (WiBro를 의미) 전국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스프린트사 홈페이지에도 4G에 WiMax와 LTE를 동시에 표기하고 있답니다. (물론 단말도 마찬가지 랍니다^^)
 
스프린트사 홈페이지 : http://ria.sprint.com/ria/pages/index.jsp?ms=4G&INTNAV=ATG:HE:4G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4G가 뭔지 많이들 궁금해 하실텐데요. 현재 4G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라고 부르는 기술방식에는 2가지, 즉 WiBro 와 LTE 가 있으며, 아래와 같이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 WiBro(Wireless Broadband)
국내에서 처음 상용화한 시분할 방식(TDD)의 4세대 무선광대역 인터넷 기술로 해외에서는 WiMAX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KT는 이미 ‘11년 3월 전국망 서비스 개시 완료

■ LTE(Long Term Evolution)
WCDMA 기반의 3세대 이동통신기술을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주파수분할 방식(FDD)의 4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KT는 2011년 2G 서비스 종료(12월8일시 전국망 종료) 이후 상용화 예정




 

 





[1] KT는 이미 4G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와이브로 4G가 바로 그 것이죠.

3G보다 3배 이상 빠른 와이브로 4G는 이미 전국 82개시에서 85%의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으며, 와이브로 4G 모뎀, 와이브로 4G 에그 외에도 " HTC EVO 4G+ 스마트폰, Flyer 4G 태블릿PC와 같이 4G 단말기가 이미 상용화 되어 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빠른 4G 스마트폰 "EVO 4G+"
  



* EVO 4G+ 적용 요금제 : i형 요금제(3W) - 8.1일부터 적용


 

요금제명

월정액

제공데이터

3G

WIBRO

i-슬림(3W)

35,000

100MB

10GB

i-라이트(3W)

45,000

500MB

i-talk(3W)

45,000

100MB

i-밸류(3W)

55,000

무제한

i-미디엄(3W)

65,000

i-스페셜(3W)

79,000

i-프리미엄(3W)

95,000


          
 
[2] 또한, KT의 경우 LTE도 한다는 사실!
경쟁사의 경우 7월부터 시작한다고 하지만, 고객이 사용가능한 LTE 스마트폰이 나오는 시기는 9월 이후이며, 중요한 것은 LTE 서비스가 다양한 단말출시를 통해 본격화되는 시점은 2012년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전까지 KT는 와이브로 4G를 통해 빠른 속도와 저렴한 요금의 4G 서비스를 누릴 수 있습니다.
 
 


 



[1] 미국 최근 시장 조사 자료의 버라이즌 LTE 평균 속도 기준 시,  LTE 실제 속도는 와이브로 4G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2] 중요한 것은 커버리지와 안정성!
이미 와이브로 4G는 전국망커버리지(전국 82개시와 주요 고속도로:인구 대비 85%)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비스의 안정화까지 보장합니다.

[3] LTE 요금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




      ※ 커버리지 계획 : 6월30일(목) 각 사 보도자료 기준


 
 
자 어떤 것을 고르시겠어요?
LTE는 LTE 단말기가 다양하게 나온 시점 이후에 가입 하시고, 지금은 3G와 와이브로 4G를 이용하시는 게 낫지 않을까요? ^^ KT는 지금도 와이브로 4G 확충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