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는 PC로 업무를 진행하고, 스마트폰으로는
은행 서비스와 같은 각종 중요한 일들을 손쉽게 처리하게 되면서,
각종 디바이스에 있는 개인정보보안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스마트폰부터 PC까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본 보안 상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군가가 당신의 스마트폰을 노린다! 스마트폰 보안 가이드
지인을 사칭한 금전사기 피해 사례
평소 친구들과 스마트폰 메신저 앱으로 연락하던 최○○씨(36)는 친구로부터 급히 돈이 필요하니 보내달라는 연락을 받고 현금 600만원을 송금했다. 송금할 당시 지인의 프로필은 특이한 점이 없었고, 자주 연락을 주고받으며 금전 거래도 했었기 때문에 전혀 의심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메시지를 보낸 사람은 최○○씨(36)의 지인이 아니었고, 송금한 지 2시간 지난 후에 모바일 메신저의 프로필은 다른 사람의 것으로 바뀌어 있었다. 놀란 최○○씨(36)는 은행에 지급 정지를 요청했지만, 이미 돈은 인출된 상태였다. 한쪽만 전화번호를 등록하여도 상대방에게 표시가 되는 것을 알고 지인과 똑같은 이름으로 프로필을 등록, 지인 혹은 친구인척 하면서 금전을 요구했던 것이다.
# 스마트폰 개인정보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일상에서 우리가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습관들이 스마트폰의 보안을
위협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일부 위치 기반의 앱을 이용할 때,
불법적으로 위치 정보가 유출되어 다양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평소에 스마트폰에 비밀번호를 걸어두거나
개인에게 중요한 사진 및 파일 등은 암호화를 해두는 것이 좋은데요.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를 암호화하지 않고
스마트폰 분실하게 되면, 스마트폰을 잃어버린 개인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회사 및 집단에도 큰 피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가로 스마트폰은 PC와 동일하게 악성코드에 감염될 경우,
개인정보 유출, 금전적 손실, 기기 고장, 사생활 침해 등의
공격도구로 악용될 수 있습니다.
불법 TM 식별 및 신고방법
스파이웨어/악성코드 차단방법
악성코드는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해를 입히도록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악의적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데요.
대표적인 악성코드로는 바이러스, 웜(worm), 스파이웨어,
애드웨어, 트로이목마 등이 있습니다.
한번 감염되면 사용자에게 많은 피해를 주는 악성코드!
어떤 사례가 있는지 살펴보고, 예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악성코드 피해사례
이○○(35)씨는 최근 업무로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황당한 일을 당했다. 관련 업계 소식이 들어 있는 블로그를 클릭하자마자 '안티 스파이웨어' 등의 프로그램이 7개나 자동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수시로 팝업 창을 띄워 '○○개의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니 유료로 치료를 하라'는 메시지를 내보냈다. 그 중 한 프로그램은 인터넷 익스플로어의 시작 페이지를 여성의 나체 사진이 들어 있는 성인 사이트로 바꾸기까지 했다.
# 악성코드와 바이러스 예방방법은 무엇일까?
평소에 악성코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예방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먼저 PC의 OS와 백신 프로그램을 언제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보안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노리는 악성코드를 예방하기 위해
진행되는 것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이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불법 파일공유사이트(P2P사이트)를 통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공유하는 것도 굉장히 위험합니다. 이는 해킹에 노출될 가능성을
높여준답니다.
일상에서 업무를 진행할 때도 작은 습관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스팸 메일함에 쌓이는 메일들은 곧바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회사에서 USB 및 외장하드를 사용할 때는 백신 프로그램을 통하여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일상에서 노출될 수 있는
보안 위험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에 따른 예방방법들을 살펴보셨는데요.
KT와 함께 개인정보보호도 안전하게 보호하고
바이러스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스마트블로그 이용 Tip! 해당 콘텐츠는 발행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발행일 이후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니 발행일이 많이 지난 콘텐츠의 경우 검색을 통해 최신 글로 확인해주세요. 또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문의는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KT CS 트위터(@kt_cs)로 멘션 남겨주시거나 114 고객센터 및 문자고객센터 또는 kt.com 고객센터 페이지로 문의해 주시면 신속히 도와드리겠습니다. [▶ kt.com 고객센터 바로가기]
'라운지 > 통신 피해 예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보호 안전수칙! 각종 스마트폰 피해 예방법 (0) | 2018.04.26 |
---|---|
오후 3시, 휴대전화에 뜬 모르는 번호 스팸일 수 있어요! (0) | 2018.04.12 |
강력한 비밀번호로 안전하게! 파일공유 서비스 이용 시 주의사항 (0) | 2017.08.30 |
당신의 개인정보는 안녕하신가요? 스마트폰 & SNS 이용 시 주의사항 (0) | 2017.08.18 |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 메신저 피싱 & 보이스 피싱 예방법 (0) | 2017.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