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KT,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본격 시동 [공지]

KT,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본격 시동



▶ KT,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참여기관과 함께 사업 성공 전략 수립

▶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및 미래산업 선도 기술과제의 성공노하우를 기반으로 전국 7개 거점에 대해 4가지 모델 적용 예정

 

KT(www.kt.com)는 지난 10월에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예비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확산사업의 본격적인 시동을 위해 KT컨소시엄 참여기관인 행정중심 복합도시건설청, 전라남도청, 광주시청,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12개 지자체 및 공공기관 45명이 한자리에 모여 사업성공 전략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KT컨소시엄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서 전국 7개 거점에 대하여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BEMS),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적용한 에너지효율화 사업 ▲전기차와 전기버스 등의 탄소제로 운송사업 ▲신재생 에너지 적용 자립형 분산전원 사업 ▲시민 참여형 전력재판매 사업의 4가지 전략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관사인 KT는 그 동안 에너지효율화를 위해 ICT를 활용한 전력관리로 에너지를 절감하는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과 정부의 비상 전력 수급 제도인 지능형 수요관리(DR: Demand Response) 프로그램을 적극 참여해 왔다.

 

이를 통해 제주시 5개 빌딩, 대전 GS칼텍스 연구소, 서울 구로구 이마트 및 강남의 부띠끄 모나코 빌딩 등에서 에너지를 절감하고 있으며, KT의 100여개 국사와 E마트/메가마트 등 대형빌딩 218곳에서 총 20만KWh(6만 6천 가구 중소도시의 1일 사용량) 이상의 전력사용량을 절감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KT는 “국책과제인 K-MEG(Korea-Micro Energy) 사업의 일환으로 마포 에너지통합운영센터(TOC) 운영을 통해 전국 110여 개소의 전력 수요관리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KT는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사업과 K-MEG사업 등을 통해 축적한 지식,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확산사업 제안 모델들을 실제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정부ㆍ소비자ㆍ사업자 모두에게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성공 발전 전략을 수립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중소기업 상생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협력사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KT Global&Enterprise부문 홍경표 본부장은 최근 전기료 인상, 하절기/동절기 전력부족 이슈 등 스마트그리드 인프라의 조속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면서, 국내 최대 통신인프라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보유한 KT와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중심의 전문기업이 참여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성공적인 사업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참고자료

 

○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 기존의 전력망(Grid)에 ICT를 접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여 에너지 절약과 탄소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는 산업

 

○ K-MEG(Korea-Micro Energy) : 산업통상자원부(구, 지식경제부) R&D 전략기획단의 5대 미래산업 선도 기술과제 중 하나로써 IT와 스마트그리드 건물에너지 기술을 융합해 운영알고리즘만으로 에너지 사용량의 30%를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

 

○ kt컨소시엄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거점지역별 사업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