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네트워크

kt 유심 하나면 타사폰도 광대역 LTE-A! 유심이동의 모든 것[리뷰]



안녕하세요 올레 스마트 지니어스입니다. 혹시 '집에 뒹굴고 있는 공기계를 쓰고 싶은 경우! 새롭게 출시된 친구의 스마트폰을 써보고 싶은 경우!' 이와 같은 상황을 유심이동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점 다들 알고 계신가요? 유심이동을 통해 내 스마트폰의 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옮겨 마치 나의 단말인 것처럼 쓸 수 있다는 사실! 어디서나 유용하고 매력적이게 쓰이는 ‘유심이동’에 대해 한번 살펴볼까요?




보통 스마트폰 후면 배터리 장착부에 위치하는 유심은 간단히 말하자면 가입자들의 식별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일종의 ‘모바일용 신분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이라고 할 만큼 스마트폰의 개인 정보를 담고 있는 유심! 소중히 보호해야 하겠죠?

 

그렇다고 지금 내 손에 있는 스마트폰만 써야 되나요? 아닙니다. 스마트폰 기기를 바꾸고 싶은 경우 개인정보를 담고 있는 유심을 원하는 단말기에 장착하면 새로운 스마트폰을 가질 수 있답니다.

 

무엇보다 최근 광대역 LTE-A를 실시하고 있는 kt의 유심을 타 통신사 기기에 장착을 해도 광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 그럼 아래 표를 통해 현재 유심이동 진행 시 광대역 LTE가 가능한 스마트폰 리스트를 알아볼까요?

(SKT 단말 모델 수: 총 23대 / 2013년 9월 기준)


LG (5종)

LG-F320S

옵티머스 G2

LG-F260S

옵티머스 LTE Ⅲ

LG-F240S

옵티머스 G Pro

LG-F200S

옵티머스 Vu Ⅱ

LG-F180S

옵티머스 G

삼성 (9종)

SHV-E400S

갤럭시 골든

SHV-E330S

갤럭시S4 LTE-A

SHV-E310S

갤럭시 메가

SHV-E300S

갤럭시 S4

SHV-E220S

갤럭시 팝

SHV-E270S

갤럭시 그랜드

SHV-E230S

갤럭시 노트 10.1 LTE

SHV-E250S

갤럭시 노트2

SHV-E210S

갤럭시 S3

팬텍 (6종)

IM-A880S

베가 LTE-A

IM-A870S

베가 아이언

IM-A860S

베가 No.6

IM-A850S

베가 R3

IM-A840S

베가 S5

IM-A830S

베가 레이서2

애플 (3종)

AIP5

아이폰 5

IPAD4

아이패드 레티나 (A1460)

IPADM

아이패드 미니 (A1455)


 



우선 유심이동을 하기 전에 유의할 점입니다.

 

제가 직접 유심이동을 하기 위해서 각기 다른 종류의 스마트폰을 유심히 살펴보았는데요. 유심을 꽂는 방향이 각각 다른 기종이 있었고 심지어 유심의 크기가 다른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부터 그림으로 간단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이렇게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방향을 알리는 그림을 따라 유심을 삽입하면 됩니다.




→ 유심의 크기는 첫번째 사진의 마이크로 유심과 두번째 사진의 일반 유심, 그리고 나노유심까지 세 가지로 나뉘어 지는데요. 보통 3G 스마트폰의 유심크기가 크고, 4G 스마트폰의 유심이 작은 모양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경우에는 세번째 사진과 같이 유심의 크기를 맞춰주는 틀을 이용하면 된답니다! 틀을 이용해 마이크로 유심을 일반 유심의 크기로 맞추어 마치 원래 그 크기의 유심인 것처럼 유심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것이죠.

 

위의 내용을 숙지하셨다면 이제 유심이동을 한번 해볼까요?

 


Type 1. kt-kt 유심이동 




먼저 kt 기기끼리 유심이동을 해보았습니다. 갤럭시S3와 베가아이언의 배터리와 유심을 분리 후, 서로 바꾸고 전원을 켜 보았는데요.




유심을 바꿔 끼운 뒤 전원을 켰다고 해서 100% 바로 적용 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왼쪽 화면과 같은 유심이동 실패 문구가 뜨는 경우 전원을 껐다가 1~2분 후 다시 켜 주세요.

또한 오른쪽 화면과 같이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문구가 뜨는 경우에는 '허용' 버튼을 눌러 주세요!




상단바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뜨고 통화가 된다면, 정상적으로 유심이 이동된 것입니다!



Type 2. kt-skt 유심이동

 

통신사가 다르더라도 유심 이동 방법은 동일합니다!




다음은 kt유심을 타사 기기로 옮겨보았습니다. kt-kt간의 유심이동과 마찬가지로 한차례의 오류 후 정상적으로 이동이 되었는데요. 제가 실험했던 과정이 유심 이동을 하는 모든 경우와 100%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기에 따라 유심을 읽는 시간에 따라 오차가 있을 수 있으니, 이동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다면 2-3번 정도 반복하여 전원 on/off를 실시해 주세요. 


불과 1-2년 전만해도 유심칩을 갈아 끼운 뒤 스마트폰내의 설정에서 APN(ACCESS Point Name)을 선택하고 MMSC정보를 입력하는 등, 이름만 들어도 복잡한 절차를 통해서 유심이동이 이루어졌는데요. 이제는 이런 절차 없이 자동으로 APN 설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말 그대로 스마트폰 내의 유심만 갈아 끼워주면 유심이동을 할 수 있답니다. 


잠깐! 여기서 APN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씀 드리면 휴대 정보 단말기를 휴대전화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필요한 대상을 지정하는 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APN이 설정되어도 “내 눈으로 유심이동이 확실히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고 싶다!” 하시는 꼼꼼한 분들이 계실 것이라고 생각 되는데요. 그 분들을 위해서 지금부터 간단한 APN 확인 방법 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APN 확인 예시 방법>

ㅇ갤럭시 S3 : 환경설정 – 추가 설정 – 모바일네트워크 – 엑세스 포인트 이름

ㅇ베가 아이언 : 설정 – 네트워크 및 통화 – 모바일네트워크 – 네트워크 설정 – APN 

※ APN 확인 방법은 제조사/단말 별로 상이합니다.


 

<kt USIM 이동 성공 시 잡히는 APN>

ㅇ3G 네트워크:  alwayson.ktfwing.com

ㅇLTE/광대역LTE-A 네트워크: lte150.ktfwing.com / lte.ktfwing.com

 

위와 같은 주소가 보인다면 APN이 제대로 설정되었고, 유심이동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kt 유심을 타사 LTE폰에 장착했을 경우에 APN을 확인해보면 위와 같은 APN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이 APN 문구가 확인된 경우, 단말에 따라 최대 100~150Mbps의 광대역 LTE-A를 즐기실 수 있답니다! 

 

자, 생각보다 절차가 간단한 유심이동! 위급 상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심이동! 정말 유용한 정보라는 생각이 드시지 않나요? 이제는 통신사나 서비스센터를 찾아가는 발걸음을 덜고,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가능한 유심이동을 활용해보세요! 특히 kt의 넓은 광대역 LTE-A를 타 통신사의 기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이번 유심리뷰의 최고의 Tip이니 콕콕 찝어서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더 넓은 광대역 LTE A 속도를 맛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 ‘유심이동’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