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물지능통신은 “Machine-to-Machine”의 약자인 M2M, 또는 “Internet of Things”의 약자인 IoT와 혼용해서 쓰이고 있으며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합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IoT보다 먼저 알려진 M2M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M2M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디바이스간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모든 기술을 의미하며, 사람이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한 도구(핸드폰, PC/Laptop, 태블릿 등)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의 디바이스를 포함합니다.
2000년대 초반 RFID tags부터 시작하여 Vertical-Market에서 활용되었으나, M2M/IoT 기술은 스마트 혁명 이후 Cellular를 활용, 일반 Mass market까지 급속히 확대 중입니다.

● M2M 디바이스 전망
전세계 M2M Device는 ‘11년 20억대에서 ‘20년 120억대로 6배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M2M 매출전망
M2M 시장은 ‘11년 전체 Connected life 시장의 24%인 $1,490억이지만, 연 22.9% 성장하여 ‘20년에는 전체 Connected life 시장의 53% 수준인 $9,500억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M2M 시장의 67%는 디바이스, 30%는 서비스 시장이며 Connectivity는 0.9%에 불과합니다.
● M2M 산업전망
M2M 산업중 CE, Intelligent Buildings, Utilities, Automotive, Healthcare 5개 분야가 가장 크게 성장하여 네트워크 연결 디바이스 기준으로 ‘20년 전체 시장의 91%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M2M Connections by Network
M2M 디바이스는 WWAN, Short-Range Wireless, Wired Network 등 여러 네트워크로 연결됩니다. CE, Utility 등 M2M 주요 성장 분야가 Short-Range Network로 연결되어, Cellular는 ‘15년 기준 전체 M2M Connection의 24.8% 정도만 차지할 것 입니다.

● M2M MNO Connection & Revenue
M2M Connection 중 17.5% 정도만 Cellular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MNO는 ‘20년 M2M 전체 매출의 39.2%인 $3,730억의 시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Connectivity와 Device는 16%에 불과하고 대부분 Value Added Service로 수익을 창출할 것입니다.
● Consumer Electronics
Consumer Electronics에서의 M2M연결 디바이스는 ‘20년에 지금의 100배가 넘는 43억개 수준이 될 것이며, 주요 디바이스로는 Connected-TV Setup Box, Gaming Console 등이 있습니다.
● Intelligent Buildings
개인 및 기업 시장에서 보안 시설/장비, 건물자동화 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유무선 연결이 확대됨에 따라 연평균 17%로 선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보안 분야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며, 건물자동화가 5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격한 성장이 전망됩니다.
● Utility
Utility 분야에서는 에너지 절감 및 탄소배출 규제 대응 등의 이슈로 Smart Meter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며, 주로 PLC(전력선 통신)를 기반으로 하는 MAN을 기반으로 구축될 것입니다.
사물지능통신(M2M) 성공요인 및 이슈
Android@Home
- INSTEON: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로 콘트롤 할 수 있는 전구, 온도조절기 등의 Appliance 출시
- PANASONIC: 원격에서 안드로이드 폰/태블릿으로 콘트롤 할 수 있는 TV, Blue-ray, Digital Cameras 및 각종 가전 제품들을 출시
● M2M 시장의 리더 조건
M2M은 그동안 기대 대비 매출 실현이 낮은 도입 단계를 지나 이제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초기 성장 단계에 돌입하였습니다. 시장 선도를 위해서는 End-to-End 솔루션과 적용 산업에 대한 노하우가 필수입니다.
국내 M2M 전망 및 현황
● 국내 M2M 전망
국내 M2M Connection은 ‘20년까지 총 1억 600만대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WWAN은 17.5%, WiFi 및 블루투스 등 Short Range가 69.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 홈싱크(’13):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갖춘 가정용 미디어 서버 겸 클라우드 센터, 각종 스마트 기기 및 CCTV 등과 연결>
<LG 스마트디오스(’12): 스마트 매니저(식품 종류, 보관기간 관리), 스마트쇼핑(홈플러스 연결), 스마트 절전, 헬스매니저(식단/조리법)>
● M2M, B2B or B2C
M2M은 전통적으로 B2B에서 성장하여 B2B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해 왔으나, 향후에는 B2B보다 B2C 중심으로 먼저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한 매장관리를 위한 필수 솔루션! Smart POS! (0) | 2013.08.28 |
---|---|
어린이와 노약자, kt가 안심이 서비스로 지켜드립니다. 안심하세요! (0) | 2013.08.16 |
디지에코 최신 동향 - M2M 시장현황과 국내외 성장 전망 (0) | 2013.08.14 |
디지에코 최신 동향 - 백문이 불여일견! 견물생심! 소셜 라이브 마케팅 (0) | 2013.07.30 |
기업의 성공을 위한 Service 받는 IT 솔루션 – 3편 olleh bizmeka 하이웨이 (0) | 2013.07.29 |
기업의 성공을 위한 Service 받는 IT 솔루션 – 2편 olleh bizmeka 세무로 (0) | 201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