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3년간 은퇴자를 위한 ‘사회공헌 일자리’ 1천 개 만든다
▶ 3년간 1천 명의 전문강사 ‘드림티쳐’ 양성을 통해 ‘사회공헌 일자리’ 마련
▶ 재능나눔 프로그램을 통해 은퇴자와 청소년/취약계층 간에 희망의 사다리 구축
▶ 3년간 10만 명의 은퇴자에게 IT 교육 및 1만 명에게 재능나눔 기회 제공
▶ 중장기적으로 은퇴자 중심의 ‘사회적 협동조합’ 설립 활동 지원
한자 학원을 20년간 운영하다 7년 전 은퇴한 이경복(78)씨. 그녀는 KT IT서포터즈에게서 사용법을 배운 태블릿PC를 활용해 서울 신월동 지역아동센터에서 아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며 새로운 삶의 보람을 느끼고 있다.
2007년부터 IT소외계층에게 IT나눔 활동을 펼쳐온 KT가 사회공헌을 넘어 이제 은퇴자들을 위한 재능 나눔과 일자리 지원에도 나섰다. KT IT서포터즈의 도움을 받은 은퇴자들이 자신만의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되돌려주고, 나아가 ‘사회공헌 일자리’도 찾을 수 있게 된 것이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2012년 11%에서 2018년 14%, 2026년 20%(통계청)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퇴자들이 겪는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빈곤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가진 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재능 나눔, 일자리 제공 노력들은 아직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KT(회장 이석채, www.kt.com)는 고령화 시대 은퇴자들이 제 2의 삶을 찾을 수 있도록 향후 3년간 총 10만 명의 은퇴자에게 IT활용교육을 실시하고 1만 명에게 재능 나눔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1천명의 은퇴자를 전문강사 ‘드림티쳐’로 양성해 3년간 1천 개의 ‘사회공헌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또 이를 지원하기 위해 은퇴자 재능나눔 프로그램 ‘시소’도 운영한다.
은퇴자들은 재능나눔 프로그램 ‘시소’를 통해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 청소년 등 취약계층에게 재능을 나눠줄 수 있고, 역량을 키워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강사가 되면 ‘사회공헌 일자리’를 찾음으로써 재능 나눔의 보람과 함께 소득창출 기회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사회공헌 일자리’란 금전적 보상은 적지만 자기만족과 성취감에 의미를 두는 봉사적 성격의 일자리로, 탄력적 참여시간과 활동비 지원을 통해 유휴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뜻한다.
KT는 올해 은퇴자 2만명에게 IT교육, 2천명에게 재능 나눔의 기회를 제공하며, IT역기능예방강사 100명 등 200명의 전문강사를 양성하는 것을 시작으로 3년간 1천명의 은퇴자를 전문강사로 양성해 ‘사회공헌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장기적으로 은퇴자 중심의 사회적 협동조합 설립도 지원할 계획이다. 민간기업이 전국 규모에서 은퇴자의 재능나눔 및 일자리 지원을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소’는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은퇴자들을 청소년 및 취약계층과 교육기관, 지자체, NGO 등 지역사회의 여러 수요처들과 매칭시켜 주는 은퇴자 재능나눔 프로그램이다. ‘시소’는 은퇴자가 재능나눔과 구직활동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OA 능력 등 IT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들의 재능을 필요로 하는 곳들을 찾아 연결시켜 주는 가교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KT가 은퇴자의 재능 나눔에 적극 나서게 된 배경에는 사회공헌 전담 직원 200명으로 구성돼 7년째 IT나눔 활동을 펼치고 있는 ‘IT서포터즈’가 있었다. IT서포터즈는 장년층을 비롯한 IT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총 230만 명에게 26만 회의 IT교육을 진행하며 정보격차 해소는 물론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같은 지속적인 IT나눔 활동 속에서 많은 은퇴자들이 버리기 아까운 재능을 가지고 있으나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몰라 고민하는 모습을 보았고, 사회 곳곳에 청소년 등 취약 계층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은퇴자들의 재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양쪽의 가교 역할을 하는 재능 나눔터 ‘시소’ 가 탄생한 것이다.
간호사로 30년 근무한 경험을 살려 동자동 쪽방촌 주민들에게 건강관리법에 대해 강의하는 안덕희(61)씨나 KT 퇴직 후 아이들에게 경제 교육을 하고 있는 이덕신(59)씨, 공군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아이들에게 파일럿의 꿈을 키워주는 정애남(71)씨 등 이미 IT서포터즈의 도움으로 재능나눔 활동을 하고 있는 은퇴자들은 ‘시소’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준다.
KT CSV단 최재근 전무는 “’혼자 꾸면 꿈에 불과하지만, 함께 꾸면 현실이 된다’는 말처럼 은퇴자의 소중한 경험과 지식을 청소년 및 취약계층과 이어주는 희망의 사다리는 KT 혼자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은퇴자들이 재능 나눔을 통해 청소년들의 멘토로서 제 2의 삶을 찾고 우리 사회에 희망을 줄 수 있도록 다른 기업들도 동참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은퇴자 재능 나눔 프로그램 ‘시소’에 참여하려면 온라인 ‘시소넷’ 인터넷 카페(cafe.naver.com/sisonet)와 페이스북(www.facebook.com/groups/sisonet), 또는 전화 1577-0080 로 연락하면 된다.
ㅇ 사회공헌 일자리
금전적 보상은 적지만 자기만족과 성취감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봉사적 성격의 일자리로, 생계보다는 사회공헌에 관심이 많은 유휴인력이 주로 참여한다. 사회공헌 일자리는 탄력적 참여시간, 활동비 지원 등을 통해 유휴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적으로 활동(취업, 자원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ㅇ 사회적 협동조합
지역주민들의 권익과 복리증진 관련 사업을 수행하거나,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및 일자리 제공하는 등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협동조합
ㅇ 은퇴자 재능 나눔 사례
1) 꿈을 이루는 경제이야기
KT를 다니다 은퇴한 이덕신(59)씨는 KT동우회를 통해 ‘은퇴자 재능 나눔 프로그램’ 설명회를 듣고 재능 나눔에 첫 번째로 신청했다. 그는 ‘꿈을 이루는 경제이야기’라는 주제로 아동 대상 교육을 하고 있는데, 지난달 서울 잠일초등학교에서 교육했을 때는 아이들이 사인공세를 하는 등 뜨거운 반응에 당황하기도 했다. 이 씨는 퇴직 후에도 본인의 재능을 나눌 수 있어 감사하고, 재정적 문제를 떠나 나눔에 큰 의미가 있다며 “내가 받은 혜택과 재능을 사회에 환원하고 싶다”고 밝혔다.
2) 아이패드를 활용한 한자교육
한자 학원을 20년간 운영해온 이경복(78)씨는 2011년부터 KT IT서포터즈로부터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익혔고, 3월부터 아이패드를 사용해 지역아동센터에서 한자 교육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할머니라고 부르다가 이제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아이들이 예쁘다는 이씨는 손주 같은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교육을 하고 싶다고 한다. 이씨는 주변 친구들이 자신의 활동을 보고 재능 나눔에 동참 의지를 보여 IT서포터즈를 소개해 주기도 했다.
3) 다문화가정 아이들에게 조종사의 꿈을
공군 전투기와 국제 여객선 조종사 출신인 정애남(71)씨는 다문화가정 아이들에게 세상을 넓게 볼 수 있는 조종사의 꿈을 키워주기를 자청했다. 그는 아동 대상 직업 교육과 더불어 은퇴자들을 상대로 컴퓨터 활용 교육도 하고 있다.
'라운지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CCTV 교통정보 Daum에 제공 [공지] (0) | 2013.04.15 |
---|---|
KT, 한국장애인인권포럼 웹 접근성 인증획득 [공지] (0) | 2013.04.12 |
KT 이석채 회장, 스펙 초월한 창의적 인재 선발 강조 [공지] (0) | 2013.04.01 |
KT스포츠 출범으로 스포츠 마케팅 본격화! [공지] (0) | 2013.04.01 |
KT 야구단, Baseball Show 진행 [공지] (0) | 2013.03.31 |